▶수지침 배우기17 수지침 배우기 5 <기모혈의 반응점 찾기> ■ 기모혈의 반응점 칮기 □ 인체의 어느부위를 막론하고 꼭 눌러서 아프지 않은 곳이 없다. □ 수지도 예외는 아니다. 여기에서는 환자가 참을 수 없을 정도의 강렬하고 과민하고 극히 예민한 압통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 기능 이상이 발생하면 반드시 통증이 있는데 대부분 승한 상태다. □ 압통점을 정확히 찾는 것이 중요하며 그 요령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상응구역을 잘 알아야 한다. > 기구는 끝이 둥글면서 뾰족한 것을 이용하거나 손가락으로 눌러 찾아도 된다. > 일정한 힘으로 누른다. > 상응부위 상하좌우를 함께 누른다. > 과민압통점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는 3~5회 반복하거나 한 지점을 약 3~4초 동안 누르고 있으면 분명히 나타난다. > 그래도 나타나지 않을 경우는 병처를 지압하거나 두드린.. 2023. 12. 19. 수지침 배우기 4 <손가락과 손톱의 이상형태> 목(木) : 간, 담 화(火) : 심장,심포, 소장,삼초 토(土) : 비장(췌장), 위장 금(金) : 폐, 대장 수(水) : 신장, 방광 ■ 엄지손가락(무지, 拇指) 무지조갑(拇指爪甲)에 이상이 있으면 간목(肝木)의 기능 항진(實)으로 나타난다. * 여기서 조갑(爪甲)은 손톱을 의미 간 기능 항진(實), 비 기능 저하(虛)의 온갖 이상현상이다. 이것은 간, 신, 심, 심포, 대장, 위는 간 기능 항진으로 실(實, 넘치다)하니 사(瀉, 쏟다, 덜어내다)해야 한다. 비, 폐, 담, 방광, 소장, 삼초는 간 기능 저하로 허(虛, 부족하다)하니 보(補, 채우다, 더하다)해야 한다. ■ 검지손가락(차지, 次指) 차지조갑(次指爪甲)에 이상이 있으면 심화(心火)의 기능 항진(實)으로.. 2023. 12. 19. 수지침 배우기 3 <B 독기맥> 독기맥은 손등의 손목 주름선에서 중지 끝 손톱까지의 사이에 뻗어가는 선으로 B1~B27까지 인체 뒷면의 독맥과 상응하는 선이다. 뒷머리, 경추, 흉추, 요추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 독기맥 □ 맥로의 유주 > 인체의 후면 중앙부에 있는 독맥과 상응하는 독기맥으로 척추 질환과 각종 신경계 질환을 다스리는 기맥이다. > 수배부 정중으로 완관절 부근의 B1 장강에서 상행하여 중지끝 손톱 뿌리 아랫부분의 B27 후정에 이른다. > B1은 완관절 배면의 함중부에서 제 3 중수골 끝 지점에서 취한다. □ 독기맥의 개론 > 독기맥은 인체의 독맥과 상응하는 기맥이다. 독기맥은 미골 끝부분에서 시작하여 척추 중앙과 척추 양옆으로 분포되어 상행한다. > 천골, 요추, 흉추, 경추로 해서 후두 중앙으로 상행하여 후정까지가 .. 2023. 12. 19. 수지침 배우기 2 <A 임기맥> 임기맥은 손바닥의 손목선에서 중지 끝까지의 사이에 뻗어가는 선으로 A1~A33까지 인체 앞면의 임맥과 상응하는 선이다. ■ 임기맥의 요혈 > A1 [회음] 전음과 항문의 중간 생식기 상응부. 생식기, 요도, 항문, 사타구니, 고환 등의 질환과 정신 질환을 다스린다. 음부소양증, 요실금, 전립선질환에 이용한다. > A3 [중극] 배꼽 밑 4촌(촌은 1마디) 방광의 상응부. 치골(하복부 생식기 위에 있는 뼈) 방광의 기모혈. 방광의 모든 질환에 이용한다. 방광염, 방광결석, 방광과민증, 성기능장애, 요도질환, 생식기질환, 전립선 요통 등에 이용한다. > A5 [관원] 배꼽 밑 3촌(손가락 3마디) 복부의 소장 모혈인 소장점 상응부로 소장의 기모혈로 정한다. 자궁질환이 악화되면 적통이 발생하며 악화될수록 적통.. 2023. 12. 19. 수지침 배우기 1 <기모혈과 기유혈> ■ 기모혈 > 기모혈이란 : 손바닥에 있는 혈로, 몸에 있는 모혈과 같은 의미를 갖고 같은 작용을 한다. > 모혈은 장부의 음적인 기가 모이는 곳으로 장부에 질환이 생기면 모혈과 기모혈에 반응이 나타나므로 이곳을 자극하면 잘 낫는다. > 모혈의 반응과 기모혈의 반응은 일치한다. > 천추혈에 통증이 나타나면 수장의 E22에도 과민반응이 나타난다. 이때 E22에 자극을 주면 천추의 통증이 즉시 소실된다. > 이렇게 민감한 유대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모혈을 잘 연구해야 한다. > 이 기모혈만 잘 찔러도 웬만한 내장질환은 모두 속히 조절할 수 있다. ■ 기유혈 > 기유혈은 체침의 유혈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갖고 있다. > 즉, 등의 유혈에 과민반응점이 나타나면 손등의 기유혈에도 똑같은 반응점이 나타난다. > .. 2023. 12. 19. 수지침 배우기 <독기맥 기본방 침놓기 실습> 오늘은 지난주 손바닥의 임기맥에 이어 손등의 독기맥을 배웠다. 독기맥 기본방에 대한 몸과 손등의 상응관계를 배우고 각각의 기본혈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B1 장강, B7 명문, B14 지양, B19 대추, B24 풍부, B27 후정까지 기본방을 우리몸의 요추, 흉추, 경추, 머리부분으로 나누어 각 위치별 상응점으로도 배웠다. 다음으로는 독맥 기본방에 대한 혈자리에 수지침으로 침을 놓아보는 실습을 했다. 손바닥에 놓을 때도 느꼈지만 손등에 놓은 침도 바로 옆으로 눕는다. 이렇게 쓰러지는건 그 부분의 몸상태가 안좋은 경우거나 침을 제대로 놓지 못해서 그런 것이라고 한다. 2023. 12. 5. 수지침 배우기 <임맥 기본방 뜸뜨기 연습> 수지침 배우면서 뜸 뜨는 것도 함께 배우고 있다. 미니 무연뜸을 구입했다. 무흔지 540개를 포함해서 무연뜸 540개를 16,600원에 구입했다. 무흔지는 구점지와 비슷하게 뜸 뜨는 자리가 덜 뜨겁게 하고 뜸뜬 자리가 표시가 나지 않게 해주는 것이란다. 뜸이 오늘 도착해서 구입 기념으로 임맥 기본방을 뜸 떠보기로 했다. 구점지나 무흔지를 붙이고 뜸을 붙인다는데 내가 구입한 뜸에는 무흔지가 들어 있으니 무흔지를 혈자리에 붙이고 뜸의 아래쪽 스티커 제거하고 무흔지 위에 부착한다. 생각보다 쉽고 잘 붙여진다. 대강 기억나는대로 위치를 잡아 13개를 붙였다. A1, A3, A5, A6, A8, A12, A16, A18, A20, A23, A24, A28, A33 이렇게 붙인것 같다. 감기기운이 있어 목과 기관지.. 2023. 12. 1. 수지침(대체요법) 배우기 또 하나의 배움을 시작했다. 탄방동 남선공원 옆의 도산서원에서 대체요법을 배우는데 수지침을 먼저 배우기 시작한 것이다. 혈자리도 모르고 침, 압봉, 뜸 등 모두가 생소하다. 일단 시작은 했는데 잘 할 수 있을지 걱정된다. 용어도 모두 어려워서 외울것은 너무 많은데 외워지지도 않는다. 새로운 도전이 시작되었는데 머리에서는 쥐가 날것만 같다. 첫날 첫번째는 손바닥과 손등의 혈자리 이름과 위치, 그리고 그 혈자리가 우리몸의 어떤 부분을 담당하는지를 배웠다. 두번째는 임맥과 독맥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6장 6부에(5장 6부는 들어봤는데?) 대한 부분도 손바닥과 손등, 여자와 남자, 음과 양으로 구분하는 것도 신기했다. 첫날 수업 후에 일단 인터넷에서 침과 침관 그리고 1호와 6호 압봉을 구입했다. 다음주부터는.. 2023. 11. 23. 이전 1 2 다음